본문 바로가기
경제

함께하는 경제공부 ⓔ "행동주의 투자"

by JH:L 2024. 1. 23.

핵심요약!!

행동주의란 기업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기업의 방향을 바꾸는것.

주로 주주가치 증대를 위해서 이루어지며, 경영진들에게는 위협으로 느껴지기도함.

미국의 빌애크먼, 한국의 삼성물산 합병 때 나타난 경우가 대표적인 경우.

미국의 경우 훨씬 활성화 되어 있고 오히려 이런 행동주의 펀드가 주식 매입시 경영합리화 기대로

주가가 마구 상승하기도 함.

한국의 경우는 여전히 적대적 M&A에 대한 거부감등으로 활성화 되지는 못하고 있느나

최근들어 주목 받고 있음.

 

행동주의 투자란 기업 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가치를 높이는 투자 전략입니다. 이는 주로 주주의 이익을 위해 경영 개선, 구조조정, 정책 변경 등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주요 전략은 기업의 숨겨진 가치를 발굴하고, 장기적인 주주 가치 증대에 초점을 맞춥니다.

 

행동주의 투자는 전통적인 투자 방식과는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이는 단순히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을 넘어서, 기업 경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전략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접근은 기업의 장기적 가치를 증대시키는 데 중점을 두며, 이를 통해 주주들에게 더 큰 수익을 제공하려고 합니다.

 

행동주의 투자의 대표적인 예는 2008년 미국의 헤지펀드 매니저, 빌 애크먼이 주도한 타겟(Target) 사례입니다. 애크먼은 타깃의 주식을 대량으로 매입한 후, 회사 경영진에게 구조조정과 자산 매각을 요구했습니다. 그의 목적은 회사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주식 가격을 상승시키는 것이었습니다. 비록 타깃 사례에서 애크먼의 전략은 성공적이지 못했지만, 이 사례는 행동주의 투자가 기업 경영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행동주의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기업의 경영진과 긴밀하게 협력하거나, 때로는 경영진에 대한 압력을 통해 변화를 이끌어내려고 시도합니다. 이들은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하거나, 경영진과의 직접적인 대화, 공개 서한 발표, 또는 다른 주주들과의 연합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한국에서도 행동주의 투자의 사례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7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과정에서, 미국의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는 이 합병에 반대하는 주주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엘리엇은 합병 비율이 삼성물산 주주들에게 불리하다고 주장하며, 합병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다른 주주들에게도 영향을 미쳤으며, 삼성에게 중요한 경영 결정에 대해 주주들의 목소리를 더욱 주목하게 만들었습니다.

 

행동주의 투자의 장점 중 하나는 기업의 숨겨진 가치를 발굴하고, 경영 효율성을 개선함으로써 전체적인 시장 가치를 증가시킨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탐색하고, 더 나은 경영 관행을 도입하게 만듭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때로는 경영진과의 갈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단기적인 이익에 집중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행동주의 투자는 변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기업의 장기적인 가치와 주주 이익을 증대시키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투자 전략보다 더 적극적이고, 때로는 대담한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때, 그 결과는 단순한 수익 증대를 넘어서 기업과 그 주주들에게 장기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나 알아둘 사항

"스튜어드쉽코드(stewardship code)"

기관 투자가가 의결권을 적극 행사해 주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행동지침.

연기금, 자산운용사 같은 기관들이 다른 사람 돈을 맡아 관리하는 집사(Steward) 역할을 하므로, 기업 가치 극대화에 

노력해야 한다는 논리. 대표적 사례는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지분을 5%이상 보유한 국내 상장사가 200여곳이 넘음.

기업 투명성 높이는 긍정적이라는 면과, 지나친 경영간섭이라는 비판이 엇갈림.